2025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2025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2025. 7. 4. 댓글 개
반응형

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한층 더 넓어집니다. 그동안 부모 각각 1년씩만 가능했던 육아휴직이 2025년 2월 23일부터 부모 각각 1년 6개월, 부부 합산 총 3년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거든요. “어떻게 하면 연장 신청이 되는지”, “한부모 가정은 예외가 있는지”, “신청서류와 절차는 복잡하지 않은지” 실제 경험과 현실 고민을 녹여 2025년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조건과 신청방법을 정리합니다.

2025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육아휴직 연장 제도, 2025년 어떻게 달라지나

기존에는 부모 각각 1년(총 2년)만 사용 가능했던 육아휴직이, 2025년 2월 23일부터는 부모 각각 1년 6개월(총 3년)까지 쓸 수 있습니다. 단, 연장 조건을 갖춰야 하고, 한부모·중증 장애아동 가정은 예외가 적용됩니다.

🎯 핵심 포인트

부부가 각각 최소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실제 사용해야 1년 6개월까지 연장 신청이 가능합니다.
한부모, 중증 장애아동 부모는 예외적으로 증빙서류만 있으면 조건 없이 1년 6개월까지 육아휴직이 허용됩니다.

부모별 연장 조건과 한부모·장애아동 가정 예외

2025년부터 육아휴직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각 부모가 최소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해야 연장 신청이 됩니다. 부부가 동시에 3개월을 써도 인정되고, 한부모나 중증 장애아동의 부모라면 관련 증빙만 준비하면 3개월 요건 없이도 연장이 가능합니다.

구분 조건 및 내용
기본 조건 부모 모두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완료
예외 한부모 또는 중증 장애아동 부모는 증빙서류 제출 시 연장 가능
동시 사용 부모가 동시에 3개월 이상 사용해도 인정
신청 시점 배우자 3개월 사용 완료 이후에만 연장 신청 가능
신청 기한 연장 시작 1개월 전까지 회사에 신청

육아휴직 연장 신청 방법, 실무 절차 그대로

회사 양식에 맞춘 신청서, 가족관계증명서, 근로계약서, 통장사본 등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특히, 한부모·장애아동 부모는 증빙서류도 꼭 챙겨야 해요.
회사 HR팀에 먼저 연장 신청서를 내고, 승인 후 고용센터(고용보험 홈페이지)로 연장 신청을 이어갑니다. 

 

 

👉 고용보험 홈페이지 바로가기

 

육아휴직 연장 신청 시 구비서류 리스트

  • 육아휴직 연장 신청서(회사 양식)
  • 가족관계증명서, 한부모가족증명서, 이혼확정판결문 등(해당 시)
  • 근로계약서, 통장사본
  • 중증 장애아동 부모: 장애인증명서, 진단서 등
⚠️ 주의사항

배우자 3개월 사용 ‘완료’ 이후에만 연장 신청 가능합니다. 미리 신청하면 반려될 수 있고, 한부모 증명은 사실혼·별거는 인정되지 않으니 반드시 법적 서류 준비가 필요합니다.

2025 육아휴직 6+6제도 급여 실수령액

 

2025 육아휴직 6+6제도 급여 실수령액

2025년 6+6 육아휴직 실수령액은 월별 상한액에서 약 7~10% 공제 후 실제 입금액이 결정됩니다. 2025년부터 부모가 각각 6개월씩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6개월간 월별 상한액이 단계적으로 높아

lulu.myheeya.com

최대 1년 6개월 연장, 부부 각각 어떻게 써야 할까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부부 모두 1년 6개월까지 쓸 수 있습니다. 부부가 동시에 3개월씩 사용해도 되고, 순차적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분할로 나눠 쓸 때도 1회 최소 3개월 이상이어야 하고, 예외적으로 한부모나 중증 장애아동 부모는 증빙만 제출하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2025년 육아휴직 연장 조건별 시나리오 요약

  • 부부가 각각 3개월씩 동시에 사용: 모두 연장 대상
  • 한쪽이 3개월, 다른 한쪽이 6개월 이상 사용: 둘 다 연장 가능
  • 한부모(이혼, 사별 등)는 증빙서류만 제출 시 연장
  • 중증 장애아동 부모도 마찬가지로 증빙만 있으면 연장
  • 분할 사용 가능, 1회 최소 3개월

육아휴직 연장 시 급여, 2025년 기준 실수령액은?

2025년부터는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시 7개월차~18개월(연장기간) 동안 통상임금의 80%, 월 최대 16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복직 후 지급금 제도도 없어져서, 월급처럼 바로 받습니다.

기간 지급 기준 월 최대 금액
1~3개월차 통상임금 100% 250만 원
4~6개월차 통상임금 100% 200만 원
7~18개월(연장) 통상임금 80% 160만 원

실무에서 꼭 챙길 점, 휴직 일정·복귀 준비 등

실제 휴직 일정은 회사 상황과 부부 스케줄을 맞추는 게 중요합니다. 회사에서 육아휴직 연장 거부는 불가하고, 혹시라도 문제 생기면 고용노동부에 바로 민원 넣을 수 있습니다. 복귀 전에 인사팀과 소통하면서 팀원들과도 미리 복귀 계획을 공유하면, 돌아왔을 때 불이익이나 오해 없이 업무에 적응하기 쉽습니다.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 메모

육아휴직 중에도 팀과 주기적으로 소통하고, 복귀 계획을 명확하게 알리면 경력 단절·불이익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25 육아휴직 급여 1년 6개월 소급 적용 되는지 확인 방법

 

2025 육아휴직 급여 1년 6개월 소급 적용 되는지 확인 방법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기간이 1년 6개월로 연장되고, 소급 적용은 부모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근로자는 자녀의 연령, 기존 사용 내역, 한부모 여부 등 다양한 조

lulu.myheeya.com

자주 묻는 질문, 육아휴직 연장 Q&A

Q. 이미 1년을 모두 사용했는데 연장 신청 가능한가요?
2025년 2월 23일 이후라면, 배우자 3개월 사용 완료 시 추가 6개월 연장 신청이 가능합니다.
Q. 부모가 동시에 3개월 사용해도 연장 대상인가요?
네, 동시 사용도 인정됩니다. 부부가 각각 3개월 이상 사용만 하면 됩니다.
Q. 연장 신청을 미리 해둘 수 있나요?
불가합니다. 배우자 3개월 사용 ‘완료’ 이후에만 연장 신청할 수 있습니다.
Q. 회사가 연장 신청을 거부할 수 있나요?
법적으로 거부할 수 없습니다. 문제 발생 시 고용노동부에 민원 가능합니다.
Q. 연장기간 육아휴직 급여는 어떻게 지급되나요?
7개월~18개월(연장) 기간에는 통상임금의 80%, 월 최대 160만 원이 지급됩니다.
Q. 분할 사용 시 주의점이 있나요?
분할 사용 시 1회 최소 3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Q. 한부모 가정, 장애아동 부모의 경우에도 서류만 있으면 연장되나요?
네, 증빙서류만 제출하면 바로 연장 신청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 댓글 ▶